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대한소아과학회

전체메뉴 보기


기타

질환상식

질환상식

게시판 검색

[감염] 노로 바이러스

정의

노로 바이러스 감염증은 노로 바이러스에 의한 유행성 바이러스성 위장염이다. 노로 바이러스는 나이와 관계없이 감염될 수 있으며, 전 세계에 걸쳐 산발적으로 감염이 발생하고 있다.

 

 


 

 

원인

 

칼리시 바이러스과에 속하는 노로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한다. 바이러스 입자는 크기가 27~40nm이고 정이십면체 모양이다. 60도에서 30분 동안 가열하여도 감염성이 유지되고 일반 수돗물의 염소 농도에서도 불활성화되지 않을 정도로 저항성이 강하다. 감염자의 대변 또는 구토물에 의해서 음식이나 물이 노로 바이러스에 오염될 수 있고, 감염자가 접촉한 물건의 표면에서 바이러스가 발견될 수 있다소량의 바이러스만 있어도 쉽게 감염될 수 있을 정도로 전염성이 높으며, 전염성은 증상이 발현되는 시기에 가장 강하고 회복 후 3일에서 길게는 2주까지 전염성이 유지된다.

 

 

증상

 

사람이 노로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평균 12-48시간의 잠복기를 거친 뒤에 갑자기 오심, 구토, 설사의 증상이 발생한다. 증상은 24-60시간 동안 지속될 수 있으나 대개 48시간 이상 지속되지는 않아 빠르게 회복된다. 소아에서는 구토가 흔하고 성인에서는 설사가 흔하게 나타난다. 두통, 발열, 오한 및 근육통과 같은 전반적인 신체증상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발열이 절반의 환자에서 발생한다. 물처럼 묽은 설사가 하루에 4~8회 정도 발생한다. 노로 바이러스 장염은 소장에 염증을 일으키지 않는 형태의 감염이기 때문에 피가 섞이거나 점액성의 설사는 아니다.

 

진단/검사


전염성이 매우 높은 바이러스성 감염 질환으로 요양원, 캠프, 군대, 지역 사회에서 발생하는 비세균성 위장염의 경우 노로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을 의심해 보아야 한다. 환자의 토사물이나 분변 등의 검체에서 노로 바이러스에 특이적인 중합효소연쇄반응(PCR)을 시행하여 바이러스 핵산을 검출하거나 효소면역법(ELISA)으로 바이러스 유사입자를 검출하여 확인한다. 최근에는 전자현미경이나 면역전자현미경을 이용한 방법도 사용하고 있다.

 

 

치료

 

노로 바이러스 장염은 특별한 치료 없이 저절로 회복된다. 노로 바이러스에 특수한 항바이러스제는 없다. 노로 바이러스 장염에서 경험적 항생제 치료를 하지 않는다.

 

수분을 공급하여 탈수를 교정해주는 보존적 치료가 이루어진다. 스포츠 음료나 이온 음료로 부족해진 수분을 채울 수 있다. 설탕이 많이 함유된 탄산음료와 과일 주스는 피해야 한다. 경도에서 중증도의 탈수는 경구 수액 공급으로 탈수와 전해질 교정이 가능하나, 심한 탈수는 정맥주사를 통한 수액 공급이 필요하다.

 

또한 구토나 설사가 심한 경우 추가적인 약물을 사용하기도 한다. 과도한 구토로 경구 수액공급이 어려울 때에는 항구토제를 사용한 후 경구 수액공급을 다시 시도하기도 한다. 65세 이상의 노인에서 설사를 자주 심하게 하여 중증도 및 심한 탈수가 발생하면 로페라마이드를 1~2일간 투여한다.

 

노로 바이러스의 장염은 대부분 일시적으로 저절로 회복되어 경과가 좋기 때문에 대부분 외래에서 치료를 시행한다. 그러나 합병의 위험이 높은 경우(노인, 임산부, 당뇨, 면역억제상태, 심한 복통, 일주일 이상 지속되는 증상)에는 입원치료를 고려한다.

 

 

경과/합병증


대부분 치료를 하지 않아도 자연적으로 치유된다. 심한 탈수나 전해질 불균형이 발생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는 수액요법과 같은 일반적인 치료를 통해서도 증상이 좋아진다.

 

 

예방방법


 

노로 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손위생이 가장 중요하다. 흐르는 물에 비누로 손을 깨끗하게 씻는 것이 손에 있는 노로 바이러스를 줄이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한미선
자세히 보기
[알레르기/호흡기] 소아 아토피피부염 관리법
아토피피부염은 인구의 10-20%가 앓고 있을 정도로 꽤 흔한 질환이고 어린 나이에 흔합니다. 매우 가렵고 잠을 못 자는 경우가 많고 만성, 반복적이기 때문에 삶의 질을 상당히 떨어뜨리는 대표적인 질환입니다.
아토피피부염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알레르기’와 ‘피부장벽의 이상’, 두 가지가 큰 원인입니다.
알레르기는 한마디로 “과민”하다는 뜻입니다. 아토피피부염 환자는 피부가 “과민”합니다. 피부를 과민하게 만드는 원인을 찾아야 하며 이것은 개인마다 다르기 때문에 정확히 검사를 해야 합니다. 자신에게 과민한 원인물질이 밝혀지면 차단을 합니다.

아토피피부염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알레르기’와 ‘피부장벽의 이상’, 두 가지가 큰 원인입니다.
알레르기는 한마디로 “과민”하다는 뜻입니다. 아토피피부염 환자는 피부가 “과민”합니다. 피부를 과민하게 만드는 원인을 찾아야 하며 이것은 개인마다 다르기 때문에 정확히 검사를 해야 합니다. 자신에게 과민한 원인물질이 밝혀지면 차단을 합니다.

아토피피부염은 피부의 가장 바깥구조인 각질층, ‘항균지질층’의 기능이상이 있는 병입니다. 외부물질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하는 기름막이 약하기 때문에 피부 밖에서 균과 먼지, 알레르기 물질들은 자꾸 침투하고 피부 안쪽에서 수분은 계속 빠져나갑니다. 이것을 막으려면 피부에 붙은 나쁜 물질은 목욕으로 제거하고 빠져나가는 수분은 보습제로 자꾸 덮어주어야 합니다. 목욕과 보습을 올바르게 잘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이유입니다.

목욕은 미지근한 온도의 물에서 10분 내외로 짧게 하고 뜨거운 물에서 오래하지 않습니다. 목욕할 때 사용하는 클렌져는 약산성~중성의 계면활성제 성분이 약하고 피부기름막 손상을 최소한으로 하는 것으로 사용해서 피부에 자극을 주지 말고 잘 씻어내야 합니다. 목욕 후에는 수건으로 두드리듯이 물기를 닦고 물기가 마르기 전에 보습제를 발라 습기를 유지시킵니다. 보습제는 계절과 피부상태에 따라 선택해서 4-6시간 간격으로 자주 바르는 것이 좋습니다.  

 



목욕방법을 바꾸고 보습제를 충분히 사용하는 것만으로 가벼운 정도의 아토피피부염은 많은 호전을 보이지만 아토피피부염은 “피부염증”이기 때문에 항염증제(외용스테로이드)를 사용하지 않으면 좋아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외용스테로이드는 강도에 따라 7단계로 나뉘며, 신체부위에 따라서 흡수율이 40배이상 차이나기도 하기 때문에 바르는 종류, 양, 방법에 대해서는 의사와 상의하여야 합니다.
갑자기 나빠지고 잘 낫지 않을 때는 피부의 균감염이 되었는지 진찰받고 항생제를 투여하기도 합니다. 감염을 예방하려면 긁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올바른 목욕과 보습, 항염증치료로 해결되지 않는 가려움증은 먹는 약의 도움을 받기도 합니다.


한림의대 동탄성심병원 전유훈
자세히 보기
  • 이전 10 개 페이지를 불러들입니다.
  • 6 / 6
  • 다음 10 개 페이지를 불러들입니다.
  • 다음 10 개 페이지를 불러들입니다.

[06732] 서울시 서초구 서운로 19 서초월드오피스텔 1606호
  • TEL : 02-3473-7305
  • FAX : 02-3473-7307
  • E-mail : pediatrics@pediatrics.or.kr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사업자등록번호 : 214-82-60210 대표자 : 김한석

Copyright ©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