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가 단백결합 폐렴구균 예방접종을 하지 않은 17세 뇌병변 장애 소아에서 발생한 폐렴구균에 의한 심한 농흉의 예

13가 단백결합 폐렴구균 예방접종을 하지 않은 17세 뇌병변 장애 소아에서 발생한 폐렴구균에 의한 심한 농흉의 예

Severe Empyema Caused by Streptococcus pneumonia in a 17-year-old Cerebral Palsy Adolescent Who Was Unvaccinated with 13-valent Conjugated Pneumoccocal Vaccine

(지상발표):알레르기호흡기-A-006
Release Date :
Haeun Jeon1, Yeji Kim 1, Hyun Mi Kang1,3 , Eun Ae Yang1,2
Catholic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소아청소년과1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Daejeon St. Mary's Hospital 소아청소년과2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St. Mary's Hospital 소아청소년과3
전하은1, 김예지1, 강현미1,3 , 양은애1,2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청소년과1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소아청소년과2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소아청소년과3

Abstract

폐렴 구균 (s.pneumoniae)은 폐렴, 농흉 또는 다른 형태의 심한 침습적 질환의 주요한 원인균이다. 그러나 폐렴구균의 다양한 혈청형(1, 3, 4, 5, 6A, 6B, 7F, 9V, 14, 18C, 19A, 19F and 23F)에 대한 13가 단백결합 폐렴구균 백신의 개발로 폐렴구균에 의한 심각한 합병증의 빈도는 감소하였다. 폐렴구균 예방접종은 5세 이상의 건강한 소아에게는 13가 단백결합 백신 접종을 권장하지 않으며, 다만 기저질환을 가진 2세 이상부터 18세의 고위험군 소아의 경우 13가 단백결합 백신접종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저자는 17세까지 폐렴구균 예방접종의 기왕력이 없는 국내 예방접종 가이드라인에서 폐렴구균 예방접종이 권고되는 고위험군에 속하지 않는 뇌병변 장애 소아에서 폐렴구균에 의해 발생한 심한 농흉의 예를 경험하였다. 17세 남아 내원 6일전부터 발열 지속되어 지역의원에서 항생제 포함하여 경구 약 복용 중 증상 점차 악화되고 흉부 엑스레이 검사 상 좌측 전 폐야의 폐렴 소견 확인되어 전원되었다. 환아는 출생 당시 저산소성-허혈성 뇌병증으로 생후 1세 경 뇌병변장애 1급을 진단 받고 수차례 폐렴 발생하여 중환자실 입원치료 받았던 기왕력 있으나 다른 만성 질환이나 면역학적 결핍은 없었다. 내원 전까지 장애영유아 시설에서 지냈으며 2013년부터 위루관이 삽입되어 있는 상태였다. 내원당시 흉부 엑스레이 검사상 흉추 및 요추의 측만증과 좌측 전 폐야의 폐렴 소견이 확인되었고 흉부 단층촬영 검사 상 다량의 좌측 흉수 및 흉막 비후와 이로 인한 좌측 무기폐 소견 확인되었다, 내원일 시행한 말초 혈액검사에서 백혈구 24,000/mm3, 적혈구침강속도 120mm/hr, C-반응 단백질은 21.46 mg/dL로 증가되어 있었다. 입원 2일째 흉관을 삽입 하여 탁한 노란색의 농혈성 흉수를 확인하였고 흉수검사에서 pH 7.0, 단백질 6.9 g/dL, 젖산탈수소효소 7309 IU/L, 포도당 2 mg/ dL로 삼출성이였다. 흉수의 그람염색 및 배양검사는 음성이었으나 세균 PCR검사에서 폐렴구균양성을 보였다. 입원 3일째부터 섬유소용해제 (유로키나제, 40,000IU, 2회) 흉관 주입 치료 3일 간 병행하였다. 경험적 항생제로 Levofloxacin, vancomycin, clindamycin을 7일간 투여 후 vancomycin, piperacillin/tazobactam로 변경하여 유지하였다. 입원 10병일 째, 호흡곤란 발생하며 동맥혈가스 검사 상 이산화탄소 축적 확인되어 기관삽관 및 인공호흡기 치료 시작하였으며 정맥 면역글로불린 및 정맥 스테로이드 투여 후 증상 호전양상 보여 인공호흡기 치료 중단하였다. 약 2주간 흉관 유지하였고 기관절개술 시행 후 호흡 안정되고 전신상태 회복되어 퇴원하였다. 이를 통해 폐렴구균을 접종하지 않은 18세 이하의 뇌병변 장애 등을 가진 소아에서 폐렴구균백신의 적극적인 접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폐렴구균 , 농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