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생 후 발생한 신생아 백질연화증 분석

출생 후 발생한 신생아 백질연화증 분석

Analysis of postnatal periventricular leukomalacia

(포스터):신생아-P-020
Release Date : 2019. 10. 24(목)
Okhyang Kim, Sol Han, Hyun-Seung Lee , Jihyun Jeon
CHA University Kangnam CHA Hospital Department of Pediatrcis1
김옥향, 한솔, 이현승 , 전지현
차 의과대학교 강남차병원 소아청소년과1

Abstract

배경: 백질연화증은 미숙아, 만삭아 모두에서 나타날 수 있는 뇌손상으로 고위험 신생아를 보는 신생아집중치료실의 가장 중요한 치료 결과 지표이기도 하다. 이에 백질연화증 발생 환아들의 특징을 분석하여 향후 뇌손상을 줄이는데 도움이 되고자 연구 분석하였다. 대상: 2003년부터 2019년까지 강남 차병원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한 고위험군 신생아들 중 출생 후 백질연화증 진단 받은 환아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산전에 뇌출혈, 뇌수종, 뇌손상이 있었던 환아들은 제외 하였으며, 이는 생후 72시간이내 시행한 뇌초음파상 뇌출혈, 뇌수종, 뇌손상 확인된 환아는 제외하고 이후 발생한 백질연화증으로 진단 받은 총 22명의 환아를 챠트 리뷰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22명 환아 중 만삭아는 1명으로 뇌수막염 앓은 후 발생되었고, 21명은 미숙아( 30주 이상12명, 30주 미만 9명) 였다. 미숙아 중 산모 감염(태반 조직검사상 융모막염 양성, 분만시 임상적 감염과 균 동정상 양성 )인 경우가 14명(63.6%), 환아 감염(임상적 패혈증 또는 혈액학적 패혈증)8명(36.3%), 산모, 환아 동시 감염 발생 빈도는 6명(27.3%) 였다. 산모들의 분만시 평균 백혈구 수가 12339.1(호중구 81.4%)로 이 두 값은 산모 감염이 있는 경우가 더 높았다. 출생 후 1시간 이내 혈액 가스 검사상 주산기 가사를 보인 환아는 3명(13.6%)이었고, 고혈압, 저혈압, 저혈당 등의 빈도는 거의 없었다. 동맥관 개존은 10명(45.5%)있었고, 심방중격결손이 4명(18.1%)있었다. 평균 산소 치료 기간 31일 이었고, 백질연화증으로 확진 받는 시기는 평균 생후 33.7일(최소 12일, 최대 68일)이었고, 생후 첫 초음파 소견은 뇌실내 출혈 1기 소견과 뇌실 주변음영 증가 소견이었다. 적혈수 수혈을 받은 환아는 11명(50%)이었다. 결론: 백질연화증의 많은 위험 요인들 중 본 연구에서도 산전 산모 감염의 빈도가 63.6% 로 가장 높았고, 출생 후 환아 감염의 빈도도 높았다. 백질연화증 감소를 위해 산전 산모 감염을 예방하는 것이 결국 신생아 감염을 줄일 수 있고, 이는 뇌손상을 줄일 수 있는 방법으로 사료된다.

Keywords: Periventricular leukomalacia, postnatal brain injur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