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부 식도 협착에 대한 내시경적 풍선 확장술 중 진단된 미끄럼틈새 탈장

하부 식도 협착에 대한 내시경적 풍선 확장술 중 진단된 미끄럼틈새 탈장

A case of sliding hiatal hernia diagnosed during endoscopic balloon dilatation for lower esophageal stenosis

(포스터):
Release Date : 2015. 10. 22(목)
Hwang Eun Ha, Peter Chun, Lee Yeoun Joo , Park Jae Hong
Pusan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Department of Pediatrics1
황은하, 천베드로, 이연주 , 박재홍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소아청소년과학교실1

Abstract

서론: 소화성 식도 협착은 소아에서 위식도 역류의 심한 합병중이다. 미끄럼틈새 탈장(sliding hernia)은 식도공 탈장의 가장 흔한 형태로 역류 식도염과 식도 협착을 일으킬 수 있다. 미끄럼틈새 탈장은 내시경 검사에서 간혹 진단되는데, 탈장의 길이가 길지 않으면 식도 조영술에서 진단을 놓칠 수 있다. 특히 협착이 발생한 경우에는 진단이 쉽지 않다. 증례: 13세 남자로 Dandy Walker 증후군으로 진단을 받았으며, 6세 경부터 철 결핍 빈혈로 자주 치료를 받은 병력이 있었다. 3년 전 소시지 조각이 식도에 걸려 타 병원에서 이물을 제거하던 중 하부 식도 협착이 있음을 발견하였으나, 이에 대한 치료를 하지 않고 지냈다. 점차 고형식을 먹지 못하고 3개월 전부터는 유동식만 섭취하고 있으며 잦은 구토가 동반되어 병원에 왔다. 체중은 3백분위수 이하였고, 혈색소는 타 병원에서 4 g/dL까지 떨어졌다가 수혈과 철분 보충 치료로 11.4 g/dL로 회복되어 있었다. 잦은 구토와 연하곤란에 대한 원인을 찾기 위해 상부 위장관 내시경 검사를 하였고 하부 식도 협착과 함께 역류성 식도염의 소견을 보였다. 협착에 대한 치료로 내시경적 풍선 확장술을 시행하였다. 풍선 카테터는 Maxforce TTS를 이용하였고, 직경 8 mm 풍선 카테터에서 시작하여 9, 10 mm 풍선으로 확장하였다. 이후 내시경 스코프가 협착부를 통과할 수 있었고 협착부 바로 아래에 위 점막 주름이 관찰되었다. 위에서 스코프를 후굴하여 위 전정부를 관찰하였을 때 위식도 접합부가 식도 내로 전이된 것이 관찰되었다. 중성자 펌프 억제제로 역류성 식도염을 치료한 후 Nissen fundoplication을 시행하였다. 이후 환자의 증상은 사라지고 체중 증가가 있었다. 결론: 본 증례는 소화성 식도 협착에 대한 내시경적 풍선 확장술을 시행 중 식도공 탈출이 진단된 드문 증례이다. 내시경 검사 중 식도 협착의 원인으로 식도공 탈출에 대한 감별이 반드시 필요하다.

Keywords: Hiatal hernia, Esophageal stenosis, Balloon dila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