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완전모유수유율의 추이:2001-2008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국내 완전모유수유율의 추이:2001-2008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Trends of Exclusive VBreast Feeding;2001-2008 KNHANES

(포스터):
Release Date : 2010. 10. 22(금)
Yu-Mi Kim¹, Jae Ho Yoo, Myo Jing Kim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¹, Department of Pediatrics, Dong-A University College og Medicine, Busan, Korea
김유미¹, 유재호, 김묘징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에방의학과교실¹, 소아과학교실

Abstract

서론: 모유수유는 아동의 성장과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이상적인 영양방법으로 권고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1960년대 이후 2000년 까지 모유수유 실천율의 점진적 감소가 보고되었으며, 낮은 모유수유율을 향상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적 노력이 시행되었다. 이 연구는 2000~2008년까지 2000년대 국내 모유수유율의 추이를 살펴보고 모니터링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전국민을 대표하는 표본조사 국민건강영양조사(KNHANES)>의 2001, 2005, 2007-8년 자료를 이용하였다. 1세 이상 3세 미만 유아를 대상으로 한 식생활 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은 2001년 271명, 2005년 306명, 2007-8년 558명으로 총 1,135명이었다. WHO의 완전모유수유율을 산출하고자 하였는데, 각 조사 시기의 조사 내용 변화에 따라 완전모유수율은 총 모유 수유를 6개월 이상 하고 조제분유와 이유보충식을 생후 6개월 이전 하지 않은 경우로 정의하였다. Cochrane-Armitage 방법을 통한 추세 검정을 하였다. 결과: 모유수유 경험율은 2001년 69%, 2005년 78%, 2007-8년 88.5%로 시기 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p for trends 0.001), 2007-8년은 2001년 대비 약 19.5%, 1.3배의 증가를 보였다. 한편 완전모유수유율은 2001년 10.9%, 2005년 25.5%, 2008년 34.1%로 시기 간 23.2%, 3.1배의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 for trends 0.001). 한편 서울과 경기도 지역의 경우 2001년 대비 2007-8년의 완전모유수유율의 증가가 35.4%, 6.4배인데 반해 비수도권 지역은 15.6%, 2.2배에 불과하였다. 시기 간의 완전 모유수유율의 증가는 수도권과 비수도권 지역의 여부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p for interaction = 0.028) 결론: 2001년부터 2007-8년간 모유수유경험과 완전모유수유율은 증가하였다. 그러나 다른 국가에 비해 완전모유수유율은 여전히 낮은 형편이다. 특히 완전모유수유율의 증가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관찰되었는데, 향후 모유수유 정책의 지역적 안배와 고려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breast feedi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