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 급성 신우신염 진단을 위한 64열 다중탐지컴퓨터단층촬영(MDCT) 검사의 효용성

소아 급성 신우신염 진단을 위한 64열 다중탐지컴퓨터단층촬영(MDCT) 검사의 효용성

Effectiveness of 64-Slice Multi-Detector Row Computed Tomography for Diagnosing Acute Pyelonephritis in Children

(구연):
Release Date : 2010. 10. 23(토)
JEONGMIN LEE, MYUNGHUN KWON, DUCKGEUN KWON, KISOO PAI
Department of pediatrics, Ajou university medical center
이정민, 권명훈, 권덕근, 배기수
아주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교실

Abstract

b>목적:/b> 소아에서 신실질 병변을 확인하기위해 이용하는 영상검사로 DMSA 스캔이 현재까지 가장 민감한 검사라고 알려져 있다. 최근 다중탐지 CT (multi-detector row CT, MDCT) 개발로 소아에서도 신 병변을 평가하는데 CT를 적용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는 DMSA 스캔에 비하여 MDCT의 진단적 효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b>대상 및 방법:/b> 발열성 요로감염으로 입원하였던 환아 중 MDCT와 DMSA 스캔을 모두 시행 받고 두 검사 중 하나 이상에서 급성 신우신염의 존재가 증명되었던 81명을 선택하여 후향적인 연구를 시행하였다. b>결과:/b> MDCT 결과 81명(100%) 전원에서 신우신염 소견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DMSA 스캔상에서는 55명(68%)에서 신우신염 소견을 확인할 수 있었다. DMSA 위음성 환아 26명은 남아 우세, 평균나이 24개월, 대부분(76.9%) 2세 미만의 특징을 보였다. 진단율을 환아 연령에 따라 나누어 비교하였을 때, 2세미만 환아군 45명중 20명(44.5%)에서 신우신염 소견이 DMSA검사로는 검지되지 않는 결과를 보인 반면 2세 이상 환아군에서는 36명 중 6명(16.6%)에서 위음성결과를 보여, 2세미만 환아에서 급성 신우신염에 대한 DMSA의 진단율이 MDCT에 비하여 더욱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b>결론:/b> 소아 급성 신우신염을 영상적으로 진단함에 있어 MDCT가 DMSA보다 우수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특히 환아가 2세 미만일 경우 더욱 두드러진다.

Keywords: 급성신우신염, DMSA, MD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