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의 4주이상 만성기침의 원인에 관한 연구

소아의 4주이상 만성기침의 원인에 관한 연구

Common causes of chronic cough in the pediatric population

(구연):
Release Date : 2010. 10. 22(금)
Soo-young Choi, Young-min Ahn
Eulji hospital,Pediatric department
최수영, 안영민
을지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Abstract

목적 : 만성 기침은 소아과 외래를 찾는 가장 흔한 원인중의 하나이다. 과거 후비루 증후군, 천식, 위식도 역류가 중요한 원인으로 보고되었고, 최근 지연성 세균성 기관지염(protracted bacterial bronchitis, PBB)이라는 최근에 정의된 질환이 소아 만성 기침에서 25% 정도의 흔한 원인이라는 보고들이 있으나 아직 여러 연구에서 증명된 바는 많지 않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항생제 처방이 비교적 많이 이루어지는 이유로 PBB 가 비교적 드물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소아과 외래를 찾아온 환자들을 대상으로 4주이상의 만성 기침을 하는 환아들의 흔한 원인들이 무엇인지를 알아보아 치료에 도움을 얻고자 한다. 방법 : 4주이상의 기침을 주소로 2009년 1월에서 2010, 5월까지 외래 방문한 18세 미만의 소아 환아들 95명에서 2006년 American College of Chest Physician에서 제시한 소아 만성 기침의 분류대로 만성기침의 원인과, 관련요인이 무엇인지 의무기록을 통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원인을 분석하기위해, 신체검진과, 단순 흉부 사진, 부비동사진, 혈청검사, 알레르기 피부시험, 폐기능검사를 시행하였으며, 가족력과 과거력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필요시 흉부 전산화 단층 촬영, 메타콜린 유발시험, 유도 객담 검사 등을 시행하였다. 기관지 내시경을 통한 배양 검사는 병원 사정상 시행하지 못하였다. 결과 : 대상환아는 총70명이었으며, 환아들의 평균연령은 9.3세(4개월-15.9세), 남아가 38명 여아가 32명이었다. 만성기침의 가장 흔한 원인은 protracted bacterial bronchitis로 23%에 해당되었으며, 부비동염은 20%, 천식은 18%를 차지하였다. 백일해같은 드문원인의 감염과 호산구성기관지염, 습관성 기침으로 진단된 경우도 각각 3%, 4%, 1%를 차지하였다. 결론 : 만성기침을 하는 환아들에 대한 원인과 관련요인을 살펴봄으로서 적절한 접근방법을 모색해보았다. 나이가 어릴수록 세균성기관지염( PBB)으로 추정되는 세균성 감염이 만성기침을 하는 소아 환아들의 흔한 원인이고 우리나라 처럼 내성균의 빈도가 높은 지역에서는 적절한 항생제의 사용이 만성 기침 환자의 치료에 중요하다.

Keywords: chronic cough, 만성기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