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결핍성빈혈에 동반된 비타민D부족증

철결핍성빈혈에 동반된 비타민D부족증

Prevalence of Vitamin D insufficiency in iron deficiency anemia

(구연):
Release Date : 2010. 10. 22(금)
Jung Won Yoon, Eun-Gyong Yoo, Moon Kyu Kim
Department of Pediatircs, CHA Bundang Medical Center
윤정원, 유은경, 김문규
CHA의과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분당차병원 소아청소년과

Abstract

b>서론/b>: 구루병에서 철결핍성빈혈이 쉽게 동반되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증세가 없는 비타민D결핍증이 많기 때문에 철결핍성빈혈로 내원한 환아에게서 비타민D의 부족현상을 의심하기 어렵다. 실외활동의 감소, 자외선 차단제 사용으로 수유여성의 비타민D부족도 증가하기에 철결핍성빈혈 환아를 대상으로 철분과 비타민D의 동반 결핍 현상이 어떠한지 조사하였다. b>방법/b>: 2010년 3월부터 8월까지 분당차병원에 내원한 환아 중 철결핍성빈혈로 진단 받은 32명을 대상으로 25(OH)Vitamin D3(VitD3), Ca, P, ALP, Wrist AP를 시행하였다. 빈혈의 진단 기준은 ferritin 12ng/mL, Transferrin Saturation 10%, Hb 11.0g/dL으로 하였으며 ferritin 이외 모든 수치가 철결핍성빈혈에 합당할 경우, CRP를 참조하였고 Stool Hb, U/A를 시행하였다. 수유방법, 이유식의 시기, 종류와 반응, 입원 경력, 영양제 복용 여부, 엄마의 과거력 등을 확인하였다. b>결과/b>: 대상 환아의 나이의 중앙값 13개월이었고, 24개월미만인 경우는 24명으로 모두 모유수유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되었고 이들 중 미숙아 출생은 7명이었다. 입원 경력은 17명에서 있었고 11명에서 이식증이 있었다. 혈색소 8.6±1.6g/dL, MCV 63.2±12.1fL, RDW 17.3±2.3%, ferritin 7.5±6.4ng/mL, Transferin saturation 4.0±3.9%이었다. Stool Hb는 1례에서 양성이었다. VitD3 39.1±25.3ng/mL, Ca 9.3±0.8mg/dL, P 5.0±0.9mg/dL, ALP 802±560IU/L이었다. VitD3 불충분을 30이하로 정의하여 이들을 A군(15명), 그 이상을 B군으로 나누었다. 24개월미만 중에 한달이상 영양제를 복용한 5명을 제외한 19명 중 A군은 13명(68.2%)이었다. VitD3 20은 9명(비타민D결핍증), ALP > 1000은 7명, Wrist AP 양성소견은 4명으로 이들 모두 24개월미만이면서 모유만 먹었고, 1례는 임상증세까지 동반되었다. A군과 B군을 비교했을 때, A군에서 의의있게 높은 RDW와 낮은 P를 보였고(p0.05), 나이가 적고 ALP가 높은 경향은 있었으나 통계학적 의의는 없었다. b>결론/b>: 철결핍성빈혈 환아 중 47%가 VitD3가 동반 부족하였으며, 비타민D결핍증, ALP 상승, 방사선학적 이상소견은 모두 24개월미만의 모유수유 환아였고, 영양제 복용하지 않은 경우 68.2%에서 비타민 부족 현상이 있었다. 모유수유 엄마에게 철분 뿐만 아니라 비타민D결핍증에 대한 교육과 적극적인 진단 치료가 뒤따라야 하겠다.

Keywords: iron deficiency anemia, Vitamin D deficiency, breast fee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