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대한소아과학회

전체메뉴 보기


소아청소년발달

육아정보

육아정보

[소아청소년발달]공감력에서 감정조절까지, ‘협업능력’을 높이다
  • 관리자
  • 4809 Hit

애착이 왜 협업능력이 될까? 
애착이 잘 형성되면 아이는 안정된 애착을 토대로 주위환경을 적극적으로 탐색하고, 사물을 이해하고 다루는 기술을 배우며, 점차 자신에 대한 유능감을 느끼게 된다. 발달 측면에서도 안정된 애착관계를 형성한 아이는 불안한 애착을 형성한 아이보다 발달이 우월하다. 도구 사용이나 문제 해결 상황에서도 더 열정이 있고, 끈기가 있으며, 다른 사람의 지시를 더 잘 따르며, 좌절도 적다. ‘애착’이라는 단어를 처음 정의한 영국의 소아건강의학자 존 보울비(John Bowlby)는 영아기에 부모와 안정된 정신적 유대를 이루면 이후에 타인과 정서적 유대를 형성하는 데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안정된 애착은 정서의 안정성, 자신감, 신뢰감, 협동심 및 타인을 도우려는 태도로 발달하게 된다고 보았다.

감정의 뇌인 변연계는 생후 8주 무렵부터 활발하게 발달하기 시작하는데, 아기는 이 덕분에 생후 3개월에는 쾌와 불쾌를 인식하고, 생후 5~6개월경에는 불쾌라는 정서를 분노, 혐오, 두려움으로 나눠서 인식할 수 있다. 생후 12개월경에는 쾌라는 정서를 자신이 원하는 것을 이뤘을 때의 만족감, 고무된 느낌, 성인에 대한 애정 등으로 나눠서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정서분화는 아이의 뇌, 특히 변연계가 발달하면서 일어난다. 이후 생후 18개월쯤에는 또래나 동생, 형과 같은 아이에 대한 애정, 질투 등의 감정을 느끼게 되고, 생후 24개월에는 진정한 기쁨이나 즐거움 등을 알게 된다. 뇌 인지발달의 정도에 따라 아이가 표현하는 감정의 디테일도 달라진다. 생후 6개월 아이가 내는 화와 생후 12개월 아이가 내는 화는 표현방식이 다르다. 생후 6개월은 닥치는 대로 짜증을 내고 악을 쓰고 우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12개월은 자신의 화를 일으킨 사물이나 대상에게 직접 화를 낸다.

정서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것은, 아이가 거울이나 사진 속에 자신을 알아볼 수 있을 때부터 가능하다. 이 때 비로소 부끄러움, 죄책감, 부러움 등 조금은 복잡한 정서를 표현하게 된다. 물론 생후 6개월 때도 다른 사람의 정서를 이해하기는 한다. 주로 부모의 얼굴표정을 보고 부모의 감정을 구분한다. 생후 10~12개월경에는 다른 사람의 표정을 참고하여 자신이 어떻게 행동을 해야 할지를 판단하기도 한다. 첫 말이 터지는 생후 18개월에서 36개월 사이, 자신의 정서를 드디어 언어로 표현하기 시작한다. 만 3~4세경에는 정서의 원인과 결과를 말로 표현할 수 있으며, 그에 맞는 행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친구가 화난 이유가 자신이 장난감을 나눠 갖지 않아서라는 것을 알고, 동생을 달래기 위해서 자신이 들고 있는 사탕을 줄줄도 안다. 만 4~5세 경이 되면, 또래가 어떤 정서를 갖게 된 것이 왜일지 추측하는 것도 가능해지는데, 아직은 또래의 마음이나 기분, 동기 등을 세세히 보지는 못한다. 주로 겉으로 보이는 단서들을 재료로 삼는다.

아이는 변연계가 발달함에 따라 감정을 처리하고 조절하는 것을 배워간다. 이 때 반드시 필요한 것이 아이와 부모와의 상호작용이다. 미소 짓는 아기에게 눈을 맞추고 미소로 대답해주고, 울면 달려가 안아주고 토닥여주고, 시도 때도 없이 얼러주는 것이 필요하다. 부모의 따뜻한 상호작용으로 아이는 새롭게 알게 되는 감정의 조절과 처리를 하나하나 익히면서 변연계를 계속 발달시켜나간다. 이 과정은 사춘기까지도 계속된다. 특히 ‘사회적 친밀감’이라는 정서는 생후 18개월까지가 감수성기다. 생후 18개월까지 긍정적인 사회적 경험을 하지 못한 아이는 타인과 친밀한 인간관계를 형성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때문에 생후 18개월 전의 부모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이 더욱 중요하다.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생후 3주에서 6주 사이에 어미와 충분한 상호작용을 가졌던 새끼 원숭이들은 이후에 격리되더라도 감정의 발달에 큰 문제가 없었던 반면에, 충분한 상호작용이 없었던 새끼 원숭이들은 감정의 발달에 문제가 있었다고 한다. 결정적 시기에 적절한 상호작용이 결핍되면 변연계의 정상적인 발달이 왜곡되기 때문이다. 뇌과학자들은 인간의 경우, 그 결정적인 시기로 아주 중요한 때를 생후 첫 1년까지로 보며, 3세까지도 매우 중요하다고 본다. 그런데 이 시기는 변연계의 감정을 처리하는 부위가 발달하는 시기와도 일치한다.
   
아이가 ‘나는 부모에게 항상 사랑받고 보호받고 있어.’, ‘언제 어디서든 내 뒤에는 든든한 부모가 있어.’라고 느끼는 애착이 잘 형성되어 있다는 것을 말해주기도 하지만, 정서가 잘 발달되고 있다는 것을 말해주기도 한다.
그림. 정서의 뇌

그림책으로 다양한 감정을 경험, 이것이 ‘협업능력 훈련’
" 숲 속의 토끼와 곰은 아주 사이좋은 친구였다. 둘은 어느 날 싸우게 되었다. 둘 다 ‘내가 먼저 미안하다고 말해야 하나?’ 고민되는 상황, 하지만 화가 난 곰은 주먹을 꼭 쥐고는 뒤돌아서며 미안하다는 말은 절대 안하기로 마음먹었다. 그렇지만 곰은 어쩐지 마음이 찜찜했다. 낚시를 하러가서도, 딸기를 딸 때도 ‘지금 미안하다는 말을 하러 가야 할까?’ 생각뿐이다. 곰은 기분을 바꿔볼까 해서 가장 좋아하는 민들레차를 마셔보지만, 웬일로 맛이 없다. 곰은 용기를 내어 토끼를 찾아갔다. 그런데, 토끼는 이렇게 고민하고 있는 자신의 마음도 모르고, 다람쥐랑 재미있게 놀고 있는 것이 아닌가? 곰은 기분이 더 나빠져 토끼와 싸운 일 따위는 잊고 맛있는 잼이나 만들기로 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기분이 나아질지를 몰랐다. 저녁놀로 온통 세상이 빨갛게 된 저녁, 곰은 다시 토끼에게 찾아가 ‘미안하다’고 말한다. 토끼는 자신이 더 미안하다고 하며 둘은 화해를 했다. 비로소 곰은 마음이 편해졌고, 웃을 수 있었다."

그림책「너랑 절대 말 안 해(가사이 마리 / 북뱅크)」의 줄거리다. 어른이나 아이나 싸움을 하고 나면, 마음이 편하지 않다. 용기를 내서 미안하다는 말을 하기가 쉽지가 않다. 하지만 화해를 미루면 미룰수록 마음은 더 불편해진다. 이 그림책에는 마음이 주인공의 행동과 에피소드에 잘 표현되어 있다. 그리고 어떻게 해야 마음이 편해지는지도 동물을 의인화하여 친절하게 안내하고 있다. 아이가 친구와 싸우고 들어온 상황, “싸우니까 기분 좋아? 안 좋지? 안 좋잖아. 그러니까 빨리 가서 사과해.”라고 윽박지르는 것보다 이런 그림책 하나 읽어주는 것이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이해하고 어떻게 조절해야 하는지를 더 잘 가르쳐 줄 수 있다.


그림책은 자신과 똑같은 감정으로 씨름하고 있는 이야기 속 주인공과 동일시 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 이는 아이의 마음속에 생생한 그림을 그리고 자신의 감정과 정서에 대해 알게 한다. 그 감정이나 정서가 너무 강렬하고 고통스러운 것이라도 그림책에서라면 아이는 도망가지 않고 그러한 감정들에 오래 머물러 있을 수 있다. 그림책의 은유적인 이미지는 아이가 다양한 감정들을 안전한 거리에서 두고 바라볼 수 있도록 한다. 그런 간접 경험을 통해서 자신이 비슷한 상황에 처했을 때, 자신의 감정을 이해하고 다룰 수 있게 된다.

아이들은 기쁨, 슬픔 등을 느낀다. 그런데, 어느 것이 기쁨인지 슬픔인지 혐오감인지 이름 붙이지는 못한다. 우리가 최초로 감정에 이름을 붙이는 것은, 다른 사람의 행동이나 반응을 통해서이다. 부모가 그 모든 감정을 보여주는 것은 한계가 있다. 이 때 그림책 속 주인공의 반응이나 행동, 상황설정 등이 좋은 재료가 된다. 그런데, 정서가 발달하려면 다양한 감정의 이름을 알아야 하기도 하지만, 본인이 직접 느끼기도 해야 한다. 그림책은 감정이입과 공감의 기회도 제공한다. 그림책에는 사랑, 기쁨, 슬픔 등의 정서가 담겨있다. 아이들은 행동만 따라 하는 것이 아니라 등장인물이 겪는 감정적 변화도 따라한다. 그림책 속 아이가 울고 있다면, 아이는 우는 흉내를 내며 그림책 속 아이가 화를 내고 있다면, 아이도 화난 표정을 짓는다. 아이는 그림책의 내용뿐 아니라 스토리에 감정을 이입하기도 한다. 아이는 그림책을 읽다가 크게 울기도 하는데 읽어줄 때마다 같은 장면에서 눈물을 흘린다. 또한 그림책에 주인공의 위기상황이 있을 경우에 문제가 해결되면 그 극적인 긴장과 해소의 감정적 순환을 맛보기 위하여 그 장면만 반복하여 읽어달라고 하기도 한다. 다양한 감정을 느끼고, 따라도 해보고, 흠뻑 젖어도 보면서, 아이의 정서는 발달해간다.

요즘 큰 아이들을 보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할 때, “짱나.”, “헐”, “대박”, “귀찮아.”라는 말을 많이 쓴다. 그 안에는 엄청 서운한 마음도 있고, 당황스러운 마음도 있고, 기분이 너무 좋은 마음도 있고, 견디기 힘든 마음도 있고, 불편한 마음도 있고, 다행스러운 마음도,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는 마음도 있다. 그런데, 아이들은 자신의 마음을 있는 그대로 느끼지도, 표현하지도, 설명하지도 못한다. 그러니 처리하지도 조절하지도 못한다. 감정을 조절하려면, 있는 그대로 느끼는 것부터 되어야 한다. 자기 안에 있는 감정을 알아야, 인정할 수 있고, 이해할 수 있고, 처리하고 조절할 수 있다. 

그림책에는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하고 그들이 말해주는 다양한 감정들이 있다. 그림과 글로 느껴지는 그림책 속 언어에는 똑같은 행복, 두려움, 슬픔, 즐거움, 화라도 그것이 한 가지 종류가 아니다. 같은 행복이라도, 화라도 상황에 따라서 단계가 다를 수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기분을 말해봐!(앤서니브라운 / 웅진주니어)」는 첫 장부터 아이에게 감정에 대해서 말을 건다. ‘기분이 어때?’로 시작한 이 그림책은 아이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감정에 대해서 설명하고 그것을 이해하고 건강하게 표현할 수 있게 돕는다. 글과 그림을 통해서 감정의 느낌을 전달한다. 주인공인 아기 고릴라가 ‘다 재미없어’라고 말할 때는 펼쳐진 두 장의 그림이 모두 흑백이다. ‘가끔은 세상에 나 혼자만 있는 것 같아.’라고 말하는 부분에서는 커다란 면에 슬픈 표정의 주인공이 아주 작게 그려져 있다. 이 외에도 폴짝폴짝 뛰어오르고 싶을 정도로 행복한 때, 가만히 있어도 눈물이 날 것 같이 슬픈 때, 머리끝까지 화가 날 때, 혼날까봐 걱정이 될 때, 뭔가 궁금할 때, 깜짝 놀랄 때, 하늘을 걷는 것처럼 자신만만할 때, 숨고 싶을 정도로 부끄러운 때 등 다양한 감정들을 주인공의 표정과 그림으로 만나볼 수 있다. 아이와 함께 본다면, 아이 안의 그런 감정이나 상황에 대해서 이야기 할 수 있는 좋은 시간이 될 것이다.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발달위원회


[06732] 서울시 서초구 서운로 19 서초월드오피스텔 1606호
  • TEL : 02-3473-7305
  • FAX : 02-3473-7307
  • E-mail : pediatrics@pediatrics.or.kr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사업자등록번호 : 214-82-60210 대표자 : 김지홍

Copyright ©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