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대한소아과학회

전체메뉴 보기


학령전기

육아정보

육아정보

[학령전기]악몽과 야경증
  • 관리자
  • 14696 Hit

어린이들이 밤에 잠을 자다가 깨는 이유는 여러 가지이지만, 대부분은 어린이들은 지치거나 스트레스를 받을 때 발생한다. 어린이들이 규칙적인 수면습관을 가지는 것으로 이러한 많이 예방할 수 있다. 만일 지속적인 수면문제가 있거나 악화된다면, 소아청소년과 의사와 상담을 해라.




 

악몽

악몽은 말 그대로 무서운 꿈을 말하며, 꿈이 가장 강렬한 밤의 후반기에 종종 생긴다. 어린이들은 울거나 두려워하며 깨어나서 다시 잠들지 못할 수 있다.

 

부모가 할 수 있는 일

 

- 가능한 한 빨리 어린이에게 가라.

- 부모가 어린이와 같이 있고, 어떤 것도 해를 끼치지 않는다고 말을 해라.

- 어떤 꿈을 꾸었는지 말해 달라고 격려해라. 꿈은 진짜가 아니라고 상기시켜라.

- 기분이 더 나아질 수 있다면 방의 불을 켜놓도록 해라.

- 어린이가 준비되었다면, 다시 자도록 격려한다

- 그림자처럼 어린이를 무섭게 할만한 것이 있는지 살펴보고, 있다면 제거하라.

 

야경증

 

야경증은 유아와 학령 전 어린이들에게 자주 발생하며, 가장 깊이 잠을 자는 단계에서 발생한다. 가장 깊은 잠은 보통 부모들이 잠자기 전인 이른 밤이다. 야경증이 있을 때, 어린이들은 다음과 같은 행동을 할 수 있다.

 

- 걷잡을 수 없이 운다.

-  땀을 흘리고, 떨거나 빨리 숨을 쉰다.

- 겁에 질리거나, 혼란스럽거나 멍하게 쳐다본다.

- 몸부림치거나 비명을 지르거나 발을 차거나 노려본다

 부모들을 알아보지 못하거나, 같이 있는 것을 인식하지 못한다.

- 특히 어린이들을 붙잡을 때에는 밀어내려고 노력한다.

 

야경증은 최대 45분까지 지속될 수 있으나, 대부분은 더 짧게 끝낸다. 야경증을 있을 때에 어린이들은 실제로 깨어있지 않아서, 야경증이 끝난 후에는 바로 잠이 든다. 악몽과 달리, 다음날에 깨어나서도 야경증에 대해 기억하지 못한다.

 

부모가 할 수 있는 일

 

- 침착해라. 야경증은 대개 어린이보다 부모들이 더 무서워한다.

- 어린이를 깨우려고 하지 마라.

- 어린이들이 다치지 않도록 한다. 만약 침대에서 일어나려고 한다면, 그를 부드럽게 제지해라.

- 짧은 시간이 지나면 어린이들은 아마도 긴장을 풀고 바로 잠을 잘 것이라는 것을 기억하라. 만일 야경증이 있다면,

  주 양육자에게 아이가 야경증이 있다는 것과 무엇을 해야 하는지 반드시 알려주어라. 만일 야경증이 지속된다면, 소아청소년과 의사와 상의해라.

 

수면 일기 쓰기

 

어린이의 잠버릇이 걱정된다면 의사와 상담해라.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한 수면 일기를 쓰면 자녀의 문제를 추적하는 데 도움이 된다.

 

- 어린이가 자는 장소

- 어린이가 보통 밤에 얼마나 많은 잠을 자는지

- 어린이가 잠들기 위해 필요한 것 (: 좋아하는 장난감이나 담요)

-잠드는 데 걸리는 시간

- 잠자는 동안 얼마나 자주 밤중에 일어나는지

- 어린이가 밤에 자다가 깨어났을 때, 위로하고 달래기 위해 하는 행동

낮잠 자는 시기와 잠자는 시간

- 가정의 변화나 스트레스

 

위의 정보들을 1-2주 동안 정리하여서 의사와 상담할 때 가지고 오는 것이 도움이 된다. 수면 문제는 매우 흔하다는 것을 명심하라. 그리고 의사의 도움으로 이런 수면 문제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06732] 서울시 서초구 서운로 19 서초월드오피스텔 1606호
  • TEL : 02-3473-7305
  • FAX : 02-3473-7307
  • E-mail : pediatrics@pediatrics.or.kr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사업자등록번호 : 214-82-60210 대표자 : 김한석

Copyright ©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All Rights Reserved.